Perpetual Swap Contract Trading Guide
무기한 선물계약(Perpetual Contract)는 USDT로 결제되는 금융파생상품입니다. 매수거래(Long)와 매도거래(Short)가 가능하고 1~ 최대 100배의
레버리지 적용이 가능합니다.
- 만기일 : 만기일이 있는 선물에 비해 만기일이 없습니다.
- 펀딩 비용율/롤오버 이자(Funding Rate) : 만기일이 없는 상품이므로 펀딩 정책이 있으며, 이 정책은 현물시장 가격과 선물시장 가격이 일치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일일정산(Daily Settlement) : 일일정산은 한국시간 기준 05:00, 13:00, 21:00에 이루어집니다.
- 계단식 증거금 유지 비율 제도(Risk Limit) : 증거금 유지 비율이란 유저가 현재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 증거금 비율입니다. 증거금 비율이
증거금 유지 비율보다 낮아질 경우, 강제 청산 메커니즘이 실행됩니다. 포지션을 많이 소유할수록 증거금 유지 비율이 높아지고, 선택할 수 있는 최고
레버리지 배수는 낮아집니다.
- 상품 : USDT
- 기초자산 : 여러 거래소들의 평균지수를 바탕으로 계산됩니다.
- 승수 : 최소 1단위 (1 USDT, 0.0001 BTC)를 기본으로 합니다.
- 틱단위(최소 변동 단위) : 상품에 따라 다릅니다.
- 레버리지: 1 ~ 최대 100배
계약 요소 | BTC | ETH | EOS | LTC | BCH | XRP |
---|---|---|---|---|---|---|
계약 승수 | 0.0001 BTC | 0.01 ETH | 1 EOS | 0.01 LTC | 0.01 BCH | 1 XRP |
최소 변동 단위 | 0.1 | 0.01 | 0.001 | 0.01 | 0.01 | 0.0001 |
레버리지 배수 | 1~100 | 1~50 | 1~50 | 1~50 | 1~50 | 1~50 |
선물지수(현재가격)의 가격은 주요 코인 거래소의 평균 가격지수를 기초로 계산됩니다.
상단의 표와 같이 현재 최소계약승수는 0.0001BTC 당 1계약이 됩니다.
선물 거래 시 상품별 지표가 현물 시장의 가격을 정확히 반영하도록 하기 위해, 각 암호화폐 상품의 지표 계산은 주요 거래소 세 곳 이상의 시장가격을 채택하여 사용합니다. 이는 비정상적인 가격 변동을 통제하기 위함이며, 거래소/ 암호화폐/ 비중에 따라 지표계산이 이루어집니다.
2-2. 지표계산 방식- 만약 채택 중인 주요 거래소로부터 가격 확인 혹은 업데이트가 중단될 경우, 가격 확인이 재개될 때까지 해당 거래소의 가격은 지수가격에서
제외됩니다.
- 가격을 제공 중인 거래소의 수가
> 3개일 경우, (1/거래소의 수*100)%의 비중으로 산출됩니다. (만약, 1개의 거래소의 가격이 나머지 거래소의 평균가격과 3% 이상의 차이가 날 경우,
해당 거래소의 가격은 3% 차이인 가격으로 처리합니다.)
> 2개일 경우, 2개의 거래소의 평균가격으로 정해집니다.
> 1개일 경우, 해당 거래소의 가격으로 정해집니다.
> BTC 기축 페어에 대해서는 Wisebitcoin BTC 지수를 곱하여 정해집니다.
* Wisebitcoin에서는 풍부한 유동성과 최상의 조건으로 거래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의 포지션이 청산될 때 나머지 포지션이 시스템에 의해 자동관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오더북의 충분하지 못한 거래량(계약수)으로 인해
포지션이 시장가격으로 청산될 수 없고, 해당 포지션에 대하여 보험 기금 역시 충분하지 않을 경우 자동 포지션 감소 메커니즘(ADL)이 동작하게 됩니다.
자동 포지션 감소 메커니즘은 반대 포지션으로 해당 고객의 포지션을 자동으로 청산시키고, 이 과정은 레버리지와 손익에 근거하여 작동하게 됩니다.
환수 메커니즘이란 손해금을 일정한 비율에 따라 수익 계좌에 분배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결산 후 유저의 부분 수익으로 손실을
부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결산 전에 수익을 이체할 수 없습니다.
자동 포지션 감소란 자동 디레버리징 과정을 통해 높은 수익과 레버리지를 갖고 있는 유저가 리스크를 부담하는 방식입니다.
포지션 매도를 통해 리스크를 분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수익 이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자동 포지션 감소 메커니즘은 아래와 같이 이해 할 수 있습니다.
(1) 보험금으로 해당 손실금에 대한 부담
(2) 상대포지션의 수익금에 대한 일부 부담
이는 위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높은 수익과 레버리지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리스크를 부담하는 방식으로 고지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 후
거래하시기 바랍니다.
무기한 선물 계약을 이용하시는 사용자분들은 계약진입 한도를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사용자의 포지션 리스크를 줄이는데 유용하며, 대량
포지션 보유 사용자가 강제 청산을 당할 경우 다른 사용자의 포지션이 자동으로 감소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높은 등급의 거래 사용자가 증거금 부족 상황에 처해질 시, 강제 청산 메커니즘이 즉시 발동하지 않으며 최저 등급까지 계약진입 한도를 낮춥니다.(소유 포지션의 부분 감소를 진행하며 증거금 유지비율을 낮춤)
계약진입 한도가 높을수록 납부하는 증거금유지비율과 실제 증거금 비율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강제 청산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만약 사용자의 보유 포지션이 계약진입 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사용자의 주문이 취소됩니다. 사용자는 언제든 계약진입 한도 등급을 조정할
수 있지만, 증거금이 부족할 경우 한도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현재 계약진입 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종류 | 계약 진입 한도 | 증거금 유지비율 | 최저 증거금 비율 | 최대 레버리지 |
---|---|---|---|---|
BTC | 1,000,000 | 0.5% | 1.0% | 100:1 |
2,000,000 | 1.0% | 2.0% | 50:1 | |
3,000,000 | 1.5% | 3.0% | 30:1 | |
4,000,000 | 2.0% | 4.0% | 25:1 | |
ETH | 100,000 | 1.0% | 2.0% | 50:1 |
300,000 | 1.5% | 2.5% | 40:1 | |
500,000 | 2.0% | 3.0% | 33:1 | |
700,000 | 2.5% | 4.0% | 25:1 | |
EOS | 100,000 | 1.0% | 2.0% | 50:1 |
300,000 | 1.5% | 2.5% | 40:1 | |
500,000 | 2.0% | 3.0% | 33:1 | |
700,000 | 2.5% | 4.0% | 25:1 | |
LTC | 100,000 | 1.0% | 2.0% | 50:1 |
300,000 | 1.5% | 2.5% | 40:1 | |
500,000 | 2.0% | 3.0% | 33:1 | |
700,000 | 2.5% | 4.0% | 25:1 | |
XRP | 100,000 | 1.0% | 2.0% | 50:1 |
300,000 | 1.5% | 2.5% | 40:1 | |
500,000 | 2.0% | 3.0% | 33:1 | |
700,000 | 2.5% | 4.0% | 25:1 | |
BCH | 100,000 | 1.0% | 2.0% | 50:1 |
300,000 | 1.5% | 2.5% | 40:1 | |
500,000 | 2.0% | 3.0% | 33:1 | |
700,000 | 2.5% | 4.0% | 25:1 |
* 증거금 및 계약진입 한도 & 레버리지에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 공지를 통해서 거래에 혼란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보험 기금은 투자자의 포지션 (자동)감소 방지에 사용됩니다. 해당 기금은 아직 실행되지 않은 청산 주문의 가격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포지션이 자동 포지션 감소 메커니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돕습니다.
보험 기금의 액수는 시장 내의 자동 청산 가격에 따라 정해집니다.
선물 거래에서 트레이더는 계약 가격에 근거해 일정한 비율에 따라 소량의 자금을 담보로 납부해야 매매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을
증거금이라고 합니다.
포지션 증거금 = 시작 증거금 + 추가/감소 증거금
시작 증거금 = 계약 승수 * 수량 * 가격 / 레버리지
레버리지는 일종의 증거금 제도로서 금융 거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래 방식입니다. ‘레버리지’는 투자자의 거래 금액을 증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트레이더의 수익 및 리스크 역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예시:
현재 BTC 최신 거래 가격이 10,000USDT일 경우, 유저는 10배 레버리지를 사용해 1,000계약의 무기한 선물 계약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유저 매수 계약 수량 = 매수 계약 수량 = 1,000 계약
유저 증거금 = 계약 승수 * 계약 수량 * 최신 거래 가격 / (레버리지 배수) = 0.0001*1,000*10,000/(10)=100 USDT
*주의사항: 높은 레버리지는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지만 늘 높은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사용 전 리스크를 잘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 레버리지: 유저가 선택한 매수 레버리지 배수
- 초기 증거금 비율: 1 / 레버리지 배수
- 포지션 증거금: 계약 승수 * 포지션 보유량 * 평균 거래 가격 / 레버리지
- 증거금 유지 비율: 유저가 현재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 증거금 비율. 증거금 유지 비율이 다르면, 상응하는 청산 가격 또한 다릅니다.
지수 가격이 유저의 청산 가격에 도달했을 경우, 포지션 감소 메커니즘이 발동됩니다.
- 증거금 유지 비율은 청산 가격을 계산하는데 사용됩니다.
- 롱포지션 청산 가격 = (포지션 보유량 * 계약 승수 * 포지션 거래 가격 – 시작 증거금) / ((1 – 증거금 유지 비율) * 계약 승수 * 포지션 보유량)
- 숏포지션 청산 가격 = (포지션 보유량 * 계약 승수 * 포지션 거래 가격 + 시작 증거금) / ((1 + 증거금 유지 비율) * 계약 승수 * 포지션 보유량)
예시:
현재 BTC 최신 거래 가격이 10,000USDT이며, 유저가 10배 레버리지를 사용해 1,000계약의 무기한 선물 계약을 매수할 경우, 1 단계 계약진입 한도
범위이며 증거금 유지 비율은 0.5%가 됩니다.
이때, 유저 초기 증거금 비율 = 1/10=10%
증거금 = 계약 승수 * 계약 수량 * 최신 거래 가격 / (레버리지 배수)
= 0.0001*1,000*10,000/10=100 USDT
청산 가격 = (포지션 보유량 * 계약 승수 * 포지션 거래 가격 – 시작 증거금) / ((1 – 증거금 유지 비율) * 계약 승수 * 포지션 보유량)
= (1,000*0.0001*10,000-100)/((1-0.5%)*0.0001*1,000)=9,045.2261
BTC 최신 거래 가격이 9,045USDT까지 하락하고, 지수 가격이 9,055.5USDT일 경우 :
미실현 손익 = 계약 승수 * 최신 거래 가격 * 포지션 보유량 – 계약 승수 * 포지션 거래 가격 * 포지션 보유량
= 0.0001*9,045*1,000-0.0001*10,000*1000=-95.5
이 경우, 증거금 비율 = (포지션 거래 증거금 + 미실현 손익) / 현재 포지션 가치
= (100-95.5) / (9,045*0.0001*1,000) = 0.497% < 0.5%
하지만 지수 가격(9,055.5USDT)이 청산 가격(9,045.2261USDT)에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청산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특정 포지션에 한해서 수동으로 증거금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증거금 변경 후, 그에 상응하는 레버리지 및 청산 가격이 변경됩니다.
현재 Wisebitcoin은 크로스 마진의 계좌 구조를 지원하고 있으며, 풀 마진 구조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크로스 마진 유형은, 매 포지션의 증거금이 모두 독립적이며 다른 포지션과 같이 계산되지 않습니다.
크로스마진이란? 계약 하나하나 거래 레버리지를 정하는 방식 (현재 Wisebitcoin에서 사용하는 방식)
풀 마진이란? 계좌전체의 레버리지를 설정하며 거래하는 방식 (현재 지원하지 않습니다)
유저는 마켓의 시세 및 개인의 의향에 따라 매수 및 매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실현 손익이란 유저가 실제로 청산할 때 발생한 손익을 뜻합니다.
계약 실현 손익:
매수 측: 계약 실현 손익 = (계약 수*평균 매도 가격- 계약 수*평균 매수 가격)*매도 수량
예를 들어, 모 유저가 평균 매수 가격 800USDT/BTC로 100계약의 BTC 법정화폐 선물 계약을 매수하고, 평균 매도 가격 1,600USDT/BTC로 100계약 모두
매도했을 경우, 실현 손익=(1,600*0.0001-800*0.0001)*100=8USDT가 됩니다.
매도 측: 계약 실현 손익 = (계약 승수*평균 매도 가격-계약승수*평균 매수 가격)*매도 수량
예를 들어, 모 유저가 평균 매수 가격 800USDT/BTC로 100계약의 BTC 법정화폐 선물 계약을 매도하고, 평균 매도 가격 1,600USDT/BTC로 100계약을
매수했을 경우, 계약 실현 손익=(800*0.0001-1,600*0.0001)*100=-8USDT가 됩니다.
계약 미실현 손익:
매수: 계약 미실현 손익 = (최신 거래 성사 가격-평균 매수 가격)*포지션 보유 수량*계약 승수
예를 들어, 모 유저가 평균 매도 가격 500USDT/BTC로 100계약의 BTC 법정화폐 선물 계약을 매수한 후, 현재 최신 거래 성사 가격이 600USDT/BTC가
되었다면, 미실현 손익= (600-500)*100*0.0001=1USDT가 됩니다.
매도: 계약 미실현 손익 = (평균 매수 가격-최신 거래 성사 가격)*포지션 보유 수량*계약 승수
예를 들어, 모 유저가 평균 매수 가격 500USDT/BTC로 100계약 BTC 법정화폐 선물 계약을 매수한 후, 현재 최신 거래 성사 가격이 600USDT/BTC가
되었다면, 계약 미실현 손익=(500-600)*100*0.0001=-1USDT가 됩니다.
무기한 계약은 펀딩 비용 메커니즘을 통해 무기한 계약 시장가격을 현물 가격에 고정합니다. 펀딩은 매 8시간마다 진행되며, 매일 계약 결산 직후인
5:00, 13:00, 21:00시(한국 시간 기준)에 진행됩니다. 해당 시간에 포지션을 소유하고 있으면 유저가 펀딩 비용을 지불 혹은 수급해야 합니다.
비용을 수급하기 전에 매도할 경우, 펀딩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습니다.
펀딩 비용=보유 포지션 가치*펀딩 비율
펀딩 비율이 양수일 경우, 롱포지션이 숏포지션에 지불하고, 반대로 펀딩 비율이 음수일 경우, 숏포지션이 롱포지션에 지불합니다.
펀딩 비용을 수급할 시, 사용의 포지션 증거금에서 우선적으로 공제합니다. 포지션 증거금 잔액이 부족하게 될 경우, 사용자 증거금 비율에 공제할 수
있는 최대 공제는 증거금 유지 비율과 같고, 남은 부분을 사용자 계좌의 가용 증거금에서 공제합니다.
플랫폼은 어떠한 펀딩 비용도 수급하지 않으며, 펀딩 비용은 사용자 간에 수급 혹은 지불됩니다.
예시:
사용가 GMT+9(한국 시간) 11:11에 10,000USDT의 가격으로 10,000계약의 BTC 계약을 매수(롱포지션).
가정:
11:20에 해당 사용자가 포지션을 매도했을 경우, 수급 혹은 지불할 펀딩 비용이 없습니다.
13:00에 해당 사용자가 여전히 포지션을 소유하고 있고 최신 BTC 거래 성사 가격이 10,024USDT로 변동되어 소유 포지션 가치가
10,000/10,024= 0.99760574BTC로 변할 경우(펀딩 비율을 0.025%로 설정), 유저는 포지션 가치*자금 비율=0.00025BTC의 펀딩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만약 펀딩 비율이 음수일 경우, 숏포지션이 롱포지션에게 펀딩 비용을 지불합니다).
고객의 모든 주문은 주문 내역 및 거래 내역에 표시되며, 주문 체결 전에 미체결 주문 내역에서 취소할 수 있습니다.
증거금(Margin)은 미체결 주문에 대해 필요한 금액만을 의미하고, 수수료(Fee)는 체결된 주문에 대해 필요한 수수료만을 의미합니다.
- 지정가 주문(Limit Order) : 지정된 가격과 거래량(계약수)으로 주문하는 형태
- 시장가 주문(Market Order) : 지정된 거래량(계약수)로 시장가격으로 주문하는 형태이고, 최종가격에서 1+-∝%오차로 체결됩니다.
단, ∝는 시장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만약,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 해당 주문은 취소됩니다.
- 최유리지정가 주문(Opponent Price) : 지정된 거래량(계약수)로 반대가격 중 최고/최저가격으로 주문하는 형태이고, 만약 거래량(계약수)가
반대가격의 거래량을 초과할 경우, 반대가격의 거래량만큼만 체결되고, 나머지는 호가창에 남습니다.
- 최우선지정가 주문(Queue Price) : 지정된 거래량(계약수)로 동일방향의 최고/최저가격으로 주문하는 형태.
- 유리지정가 주문(Over Price) : 지정된 거래량(계약수)로 반대방향의 최고/최저가격에서 +-∝로 주문하는 형태. 단, ∝는 시장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매수 진입(Buy(Open Long)) : 매수 포지션으로 진입하는 주문
- 매도 진입(Sell(Open Short)) : 매도 포지션으로 진입하는 주문
- 매수 청산(Sell(Close Long)) : 매수 포지션을 청산하는 주문
- 매도 청산(Buy(Close Short)) : 매도 포지션을 청산하는 주문
시장가격이 지정된 가격에 도달했을 때 접수되는 주문
예시:
BTC의 현재가격이 10,000 USDT이고, 지정가(trigger price)를 9,500 USDT에 설정하고 주문가격을 9,450 USDT, 주문 수량을 100계약으로 설정합니다.
BTC가격이 9,500 USDT까지 하락했을 때 해당 주문을 접수하고, 오더북에는 지정가주문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 GTC (주문자 취소조건, Good Till Cancelled) : 해당 주문은 주문자가 취소할 때까지 유효합니다.
- FOK (전량 충족조건, Fill or Kill) : 주문 수량(계약수)이 전체 체결되지 않을 경우 전체 취소.
- IOC (즉시 체결조건, Immediate or Cancel) : 주문 수량(계약수) 중 일부가 체결될 경우 주문 잔량은 취소.
- Post-only : 메이커로서 지정가 주문 처리되며, 일부가 체결될 경우 주문 잔량은 취소.